왜 기금이 더 필요한가?

소아마비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야생 바이러스가 남아 있는 2개국, 즉 아프가니스탄, 파키스탄에서 바이러스의 이동을 차단시켜야 합니다.

왜 '제로'가 중요한가?

1988년 이래 전세계 소아마비 발병 케이스는 99.9% 감소되었지만, 완전한 퇴치를 이룩하려면 지금이 가장 중요한 때입니다.
  

위험:

소아마비 재발

  
소아마비가 완전히 퇴치되지 않는다면, 우리는 10년 안에 연간 발병 케이스가 20만 건으로 급증하는 사태에 처하게 될 수 있습니다.
  

도전:

범세계적인 퇴치

  
우리는 소아마비 퇴치가 가까워질수록 철저한 감시 활동을 통해 바이러스를 더욱 빨리 감지해 그 이동을 차단해야 합니다. 소아마비 발병 200건 중 1건만이 마비 증상을 일으키므로, 감시 활동과 실험실 네트워크 없이는 바이러스 서식지를 발견해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
  
  

  

 소아마비 퇴치에 대한 이해

  

해결책:

여정의 완료

  
파트너 단체, 각국 정부, 지역사회 리더, 보건요원, 자원봉사자 등 모두가 다 함께 '파수꾼'으로 나서야 합니다. 전세계가 소아마비 퇴치 공인을 받는 그날까지 우리는 세상의 모든 어린이들을 소아마비로부터 지키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.

기부금으로 할 수 있는 일

2019년 1월에 로타리는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의 소아마비 면역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5,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했습니다. 이 기금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11개국에서 기술 지원과 사회적 동원을 위해 사용됩니다. 일부 사례를 소개합니다:

  
  • 카메룬:

    백신을 접종할 보건요원 3만 1,832명
  • 나이지리아:

    지역사회에서 면역의 날을 홍보할 현지 요원 1만 4,555명
  • 차드:

    백신을 투여받은 어린이들의 손가락에 보라색 표시를 하는 데 쓰일 마커 9만 5,000개
  • 아프가니스탄:

    6만 6,501명의 현장 요원, 지휘자, 감독관, 조사 요원, 코디네이터에 대한 훈련 실시

누구와 협력하나

우리의 파트너들

얼마나 진전했나

소아마비 퇴치 타임라인